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reference
- 메타테이블
- 함수 객체
- c++
- effective stl
- 암시적 변환
- implicit conversion
- operator new
- more effective c++
- UE4
- 영화 리뷰
- 영화
- exception
- 언리얼
- 티스토리챌린지
- resource management class
- 다형성
- 반복자
- 루아
- Effective c++
- 참조자
- 스마트 포인터
- virtual function
- Smart Pointer
- 비교 함수 객체
- 게임
- 예외
- 상속
- 오블완
- lua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InputComponent (1)
스토리텔링 개발자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vcSw/btruc5K7yrM/3VqjdroGrTOtv9QCT5yu71/img.jpg)
개요 언리얼의 입력 체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맵핑과 바인딩의 차이에 대해 기록할 예정입니다. PlayerInput / InputComponent 각 아래의 작업을 처리합니다. PlayerInput 플레이어 컨트롤러(PlayerController)의 키 맵핑을 관리합니다. 아래의 특성을 가집니다. 클라이언트에서만 스폰됩니다. ActionMapping / AxisMapping 을 지원합니다. InputComponent 액터의 키 바인딩을 관리합니다. 바인딩 로직은 델리게이트로 연결합니다. 직관적으로는 키와 로직을 직접 연결하면 될 것 같으나,(두 단계) 실질적으로는 세 가지 단계를 거치며 입력이 처리됩니다. 직관 키 - 로직 UE4 키 - 별명(매핑) - 로직(바인딩) 예를 들자면 스페이스 키로 ..
개발/언리얼 엔진
2022. 2. 22. 18:22